고구려, 백제, 고려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03 16:44
본문
Download : 고구려, 백제, 고려.hwp
2) 향교의 목적: 향교는 지방교육기관으로 유학의 전파와 지방민의 교화에 목적이 있었다.
3) 4서의 중시: 성리학서인 대학, 중용, 논어, 맹자 등의 4서가 중요한 교육내용을 이루고 있었다.
3) 교육기관이자 유교의 사당: 향교에는 교육을 하는 명륜당 외에 성현과 유학자를 모시는 문묘를 두어, 지방민을 교화하고자 했다. 이는 중앙에서 지방으로 장학관을 보낸 시초로 향교발전의 기초가 되었다.고구려, 백제, 고려의 교육에 대하여 조사하였습니다. 고려시대에는 과거를 통해 무신이 되는 길은 없었다.
(2) 응시자격
1) 세습적인 관료제를 없애 왕권을 강화하기 위…(To be continued )
설명






고구려, 백제, 고려의 교육에 대하여 조사하였습니다.
2. 향교
(1) 향교의 설립
1) 성종의 장학관 파견: 성종은 학문이 우수하고 사표(師表)가 될 수 있는 자를 경학·의학 박사로 삼고 12목에 1인씩 파견했다.
2) 문묘가 없는 학교: 국자감과는 달리 문묘가 없는 순수교육기관이었다.
제술업(製述業): 시, 부, 송, 책 등 문학을 중심으로 하는 것으로, 고려의 귀족들이 문학을 더 숭상했기 때문에 가장 으뜸으로 여겨졌다.
1) 중등 수준의 학교: 학당은 중앙에 설치된 관학으로 국자감의 하위에 속하는 중등학교 수준이었다.
2) 잡업: 기술관을 등용하기 위한 시험인 잡업시험은 명법업, 명산법, 의업, 주금업, 지리업 등을 중심으로 하는 시험이었다.13 , 고구려, 백제, 고려인문사회레포트 ,
순서
13
,인문사회,레포트
고구려, 백제, 고려
레포트/인문사회
Download : 고구려, 백제, 고려.hwp( 61 )
다.
3. 고려의 과거제도와 교육
(1) 과거의 종류
1) 문관선발시험: 문신을 등용하기 위한 시험에는 제술업과 명경업이 있었다.
4) 무과: 무신을 선발한 무과시험은 예종 때 국자감에 무학재인 강예재가 설치되면서 계획되었으나 곧 삭제되었다. 명경업(明經業): 시, 서, 역, 춘추 등 유교의 경전을 중심으로 관리를 선발하는 시험이었다.
3) 승과: 승려를 선발하기 위한 승과시험은 교종선과 선종선 두 종류가 있었다.
2) 인종의 정비: 인종 5년(1127) 지방에 학교를 세우도록 명했다는 기록이 있다아
(2) 향교의 성격
1) 지방 관립 중등교육기관: 향교는 지방에 설립된 관 주도의 중등교육기관이었다.